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자식을 부자로 만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by ▃ ▄ ▅ ▆ ▇ 2022. 12. 27.

제목이 다소 자극적이지만

흙수저 부모가 자녀에게 가장 현실적이고 확실하게 목돈을 남겨 줄 수 있는 방법이다.

이제 막 자녀가 태어난 신혼부부이거나 초. 중등 학년인 가정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 당장 자녀 이름으로 연금저축계좌를 만들어 국내상장미국ETF를 매월 적립해 주자. 

 

왜 연금저축계좌인가

 

연금저축계좌는 모든 국민에게 목돈 한 번 잘 만들어보라고 국가에서 특별한 혜택을 부여한 계좌이다. 

연금저축 단독으로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는 매년 66만 원을 돌려받는 효과)

매년 최대 1,800만원까지 적립 가능하다. 

 

대부분의 자녀는 소득이 없으므로 세액공제는 큰 의미가 없다. 

그러나 나중에 자녀가 취업하여 소득이 발생하면 그동안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않은 원금은 모두 인출할 수도 있다. 

연금저축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장기투자에 특화된 가장 강력한 절세계좌라는 점이다. 

 

우리는 자식을 부자로 만들어 줄 30년짜리 프로젝트를 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복리 수익을 깎아먹는 최대의 적은 세금이다. 

 

일반계좌에서는

주식 투자 시 배당금에 대해서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기초자산이 미국 등 해외 주식 ETF라면 역시 15.4%의 세금이 부과된다. 

세금만큼의 수익이 재투자 되는 기회를 잃는 것이다. 

 

연금저축계좌는 과세이연 효과를 통해 장기간 세금 없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한다면

원금을 제외한 투자 소득에 대해서 3.3% ~ 5.5%의 연금소득세가 부과된다. 

 

왜 국내상장미국ETF인가

 

우리의 투자계획이 수십 년짜리라면 투자 대상은 어떤 조건을 가져야 할까. 

 

  • 원금의 손실이 없어야 한다.
  • 대체 투자를 초과하는 확실한 수익을 보장해야 한다. 
  • 신경 쓰지 않아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지구상의 유일한 나라는 미국이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고 있고, 이 시스템 안에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자본주의시스템의 핵심은 지속적인 성장이다. 

미국은 자본주의시스템의 정점에 있다. 

 

미국 시장은 가장 투명한 자본시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50대 혁신기업의 절반 이상이 미국이다. 

아직까지 미래는 미국이 견인하고 있다. 

미국이 불확실하다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와 중남미등은 볼 필요도 없다.

투자는 미국이어야 한다.

 

국내상장미국ETF

'S&P500'과 '나스닥100'만 담아라

전 세계 개미투자자들의 최선호 종목은 미국 기업 테슬라다. 

2022년 12월 말 현재 테슬라의 주가는 2021년 최고치 대비 -70%를 넘어섰다.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이런 개별 종목을 매수할 수도 없지만

이런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 역시 공포스러운 하락을 피할 수 없다. 

대부분의 개인은 엄청난 손실을 심리적으로 견딜 수 없다. 

 

기술은 계속 변하고 현재를 주도하는 기업도 언젠가는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우리는 새로운 혁신 기업이 태어나고 소멸되는 시장 전체를 품고 있는 

인덱스펀드에 투자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시장에서 가장 능력 있는 펀드매니저의 90% 이상이 인덱스펀드를 이기지 못했다. 

S&P500과 나스닥100은 가장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보장하지만 투자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국내상장미국ETF 중 S&P500과 나스닥100에 절반씩 투자하자.

 

월 18만 원, 20년 후 2억을 만들어 주자

증여세 없이 자녀에게 10년간 물려줄 수 있는 금액은 2천만 원이다. 

매월 적립식으로 저축해 줄 경우 증여세 3% 할인율을 감안하면 월 18만 원 정도이다. 

월 18만 원씩 20년간 연금저축계좌에서 인덱스펀드에 투자 할 경우의 수익은 다음과 같다. 

 

* 월 18만원 적립 시 (2003년 ~ 2022년 미국 SPY, QQQ ETF에 50:50 투자 시)

- 20년 원금 : 43,200,000 원

- 20년 최종 자산 : 210,034,309 원

 

* 2022년 침체장을 피해서 시뮬레이션을 2002년 ~ 2021년으로 한다면 최종 자산은 287,691,027원이다.

* SPY는 대표적인 S&P500 추종 ETF이다.

* QQQ는 대표적인 나스닥100 추종 ETF이다.

 

투자에 성공하는 방법

물론 위 결론으로 부자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자녀가 성인이 되는 시점에 자유롭게 유용할 수 있는 종잣돈이 있다면

훨씬 많은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고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인이 하는 투자는 아무것도 신경 쓰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인덱스펀드에 장기투자만이 승리한다.

시간이 해결해 준다. 

 

 

댓글